교육연구단의 전략

교육연구단의 전략

3. 교육연구단의 전략

  • - 20년간 전자상거래 협동과정으로 다양한 변화를 주도하는 교육 및 연구 수행
  • - 중국대학교수 취업 등 교육성과와 많은 재학생
  • - 2020년부터 디지털미래융합서비스 협동과정으로 재도약 준비
  • - 질적, 양적 우수한 연구력
강점요인
(Strength)
S
  • - 공유경제 및 디지털미래융합서비스 분야의 학문적 체계 미흡
  • - 사회문제 혁신 아이디어 체계화 미흡
  • - 새로운 시도이고 과학적 적용을 연구하는 모든 단계로 사회문제 해결의 리스크 존재
  • - 모든 융복합 분야를 관리하기 어려움
  • - 본교 학부생, 한국인 진학률이 높지 않음
W
약점요인
(Weakness)
기회요인
(Opportunity)
O
  • - 공유경제 산업 활성화
  • - 국가 정책적으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인문사회과학기술 R&D 운영
  • - EU, UN 등 국제적으로 디지털 기반 지속가능발전 전략 추진중
  • - AI, Big Data, Blockcahin, Digital Twin 등 기술의 적용 가능성
T
위협요인
(Threat)
  • - 공유경제 및 디지털미래융합서비스 분야 성공 기준을 제시하기 어려움
  • - 너무나 빠른 과학기술의 변화
  • - COVID-19에 따른 국제 교류 장기화 리스크
  • - 지역 상황에 맞는 사회문제 해결 방향에 대한 다양한 요구사항
지원활동 강점(Strength) 약점(Weakness)
기회
(Opportunity)

강점-기회(SO) 전략

  • 인문사회과학기술 융복합 교수 참여 전략
  • 디지털미래융합서비스 협동과정으로 정체성 확립

약점-기회(WO) 전략

  • 미래학, 사회적 경제학을 이용한 학문적 기반 조성 전략
  • Blockchain, DigitalTwin 도입한 산업사회문제 해결전략
위협
(Threat)

강점-기회(ST) 전략

  • 사회 및 기술 전공 참여교수의 지속적 확대
  • 연구단 효율적 운영관리를 위한 단계별 성장 전략

강점-기회(WT) 전략

  • 지역자치단체 및 연구기관, 지역업체와의 협력 전략
  • 신남방, 신북방, 신서방 국제 네트워크 구축 전략